본문 바로가기

JAVA 기초

(32)
[JAVA] param 속성 - ServletContext,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HttpSession 객체 중 하나에 설정해 놓는 객체(Object)이다. 타입 : Application / Context Request Session 설정 메소드 : setAttribute(String name, Object value) 리턴 타입 : Object 참조 메소드 : getAttribute(String name) 파라미터 어플리케이션과 서블릿의 초기화 파라미터 값은 런타임 시 설정할 수 없다. 오로지 DD(Web.xml)에서만 가능하다. Request 파라미터를 가지고, 좀 어렵긴 하지만 쿼리 스트링을 설정 할 수 있다. 타입 : Application / context 초기화 파라..
react & SPA SPA(Single Page Application) 란 최초 한번 페이지 전체를 로딩한 이후 부터는 데이터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웹 방식은 요청 시 마다 새로고침이 일어나면서 서버로 부터 리소스를 전달받아 해석하고 화면에 렌더링 하는 방식이였다. React란? React는 페이스북에서 제공하는 자바스크립트 UI 라이브러리다. 즉 React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다. Angular가 프레임워크인 데 반해 React는 라이브러리다. 즉, 웹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도구들이 전부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그런만큼 가볍고, 선택의 폭이 넓다. React는 컴포넌트 기반이다.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흘려보내면 설계된 대로 UI가 조립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Recat를 ..
절차지향 언어와 객체 지향 언어의 차이는? 절차지향이란(Procedural Programming)?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것처럼 순차적인 처리가 중요시되고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기법. 대표적으론 C언어가 있다. 장점 -컴퓨터의 처리구조와 유사해 실행속도가 빠르다. 단점 -유지보수가 어렵다. -실행 순서가 정해져있어 코드의 순서가 바뀌면 동일한 결과를 보장하기 어렵다. - 디버깅이 어렵다. 객체지향(Object Oriented Programming)이란? 객체지향이란 실제 세계를 모델링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이다. 3개의 특성이 있다. 1.캡슐화 -개발자가 관련된 데이터와 알고리즘(코드)이 하나의 묶음으로 정리된것 -관련된 코드,데이터가 묶여있고 오류가 없어 사용에 편리함 2.상속 -상속은 이미 작성된 ..
디자인 패턴 스트레티지 패턴 디자인 패턴이란? -소프트웨어를 설계할때 특정 맥락에서 자주 발생하는 고질적인 문제들이 또 발생했을 때 재사용할 수 있는 훌륭한 해결책. -"바퀴를 다시 발명하지마라( Don't reinvent the wheel)" -이미 만들어져 잘되는것을 처음부터 다시 만들 필요가 없다는 의미이다. 패턴이란? -다양한 소프트웨어 시스탬을 개발할때 야기되는 문제점들의 해결책 사이의 공통점들의 유사점을 패턴이라 부른다. -패턴은 공통의 언어를 만들어주고 팀원사이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해준다. 장점 -코드 중복 방지 -런타임(Runtime)시에 타겟 메소드 변경 -확장성(신규 클래스)및 알고리즘 변경 용이 원칙 애플리케이션에서 달라지는 부분을 찾아내 달라지지 않는 부분으로 부터 분리시켜 캡슐화 시킨다. 스트레티지 패턴 (..
명령어들 commands 자바에는 수많은 명령어들이 있다. 그에 따라 수많은 기능들이 발생하는데, 솔직히 다 외우거나 할 자신이 없다. 그럴때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 자바를 제공하는 오라클에서 직.접. 만든 사이트라 매우 정확하면서 직관적이기 까지 하다. 원하는 기능은 ctrl + f 로 찾은 후 그 기능과 옵션들, example들 까지 찾아볼 수 있다. 그 사이트는 아래에 첨부 되있다.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api/ Java Platform SE 8 docs.oracle.com
변수 variable 고차원의 계산식에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수. 컴퓨터에서 변수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공간을 말한다. 변수를 생성하기 위해선 변수 선언을 해주고 값을 저장 혹은 초기화 해줘야한다.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 A = 10; } } 변수의 종류는 많은데, 대표적으론 .기본형 과 참조형 2가지로 나눠지고 기본형은 8가지, 참조형은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을 말한다. 기본형 boolean,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이 있다.
매개변수 , parameter 매개변수란 함수에 값을 전달하는 변수를 말한다. 함수에 변수를 전달하는 목적은 3가지로 분류되는데, ■해당 함수에 값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 ■해당 함수에서 결과값을 받아오기 위한 목적 ■해당 함수에 값을 전달하고 동시에 결과값을 받아오기 위한 목적 이같은 목적은 해당 함수가 변수를 변경시킬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매개변수는 들어가는 타입에 따라 받는 타입도 똑같이 정해줘야 한다. 안그러면 쾅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전사 a전사 = new 전사(); a전사.공격("브라이언", "칼"); //매개변수 브라이언, 칼 // 브라이언이(가) 칼(으)로 공격합니다. a전사.공격("필립", "창"); // 필립이(가) 창(으)로 공격합니다..
.printf 형을 짜서 출력을 할때 사용된다 printf()는 지시자를 통해 변수의 값을 여러가지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printf("%d * %d = %d", dan, i, dan*i) 이런식으로 작성이 되는데 %d는 숫자(정수)를 %s 는 문장을, %n은 줄바꿈을, %f 는 실수.. 등등 이런식으로 입맛대로 틀을 짜서 출력문을 만들 수 있다. public class Printf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ge = 19; String addr = "대전"; //'%n'지시자를 사용 안 했을 경우 System.out.printf("줄바꿈 기능"); System.out.printf("없음."); //'%n'지시자를 사용한 경우 System.out..